(제사 음식 차리는 것을 진설이라고 합니다) -. 제수 진설법도 각양각색이나 대체적으로 지켜내려 온 법칙과 응용진설법을
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. 어동육서(魚東肉西) 생선은 동쪽, 고기는 서쪽. 육고기가 으뜸 . 동두서미(東頭西尾) 머리는 동쪽, 꼬리는 서쪽 . 숙서생동(熟西生東) 익힌 나물은 서쪽, 생김치는 동쪽 . 시접거중(匙楪居中) 수저 올려놓은 그릇 위치는 신위의 앞 중앙 . 적접거중(炙楪居中) 적(구이)의 위치는 중앙
. 반서갱동(飯西羹東) 메(밥)는 서쪽, 갱(국)은 동쪽
. 면서병동(麵西餠東) 면(국수)은 서쪽, 떡은 동쪽
. 면서병동(麵西餠東) 붉은 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
. 동조서율(東棗西栗) 대추는 동쪽, 밤은 서쪽.
. 건서습동(乾西濕東) 마른 음식은 서쪽, 젖은 음식은 동쪽
. 좌포우혜(左脯右醯) 포는 동쪽, 식혜는 서쪽
. 고서비동(考西婢東) 남자 신위는 서쪽, 여자 신위는 동쪽
. 정세과위선(精細果爲先) 정갈스럽고 곱고 몸체가 작고 섬세하여
진귀하고 보기 좋은 것을 서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차립니다.
-. 응용진설법
. 달걀 등은 육(肉) 옆에, 해삼 낙지 홍어회 등은 어(魚) 옆에,
. 김은 포(脯) 옆에, 전골 삼계탕 등은 탕(湯) 옆에, 잡채 도토리묵 등은 물김치 옆에,
. 좌포우혜(左脯右醯) 좌측에 포 우측에 혜 . 어동육서(魚東肉西) 동쪽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 . 동두서미(頭東西尾)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방향으로 . 홍동백서(紅東白西) 붉은색은 동편으로 흰색은 서편으로 . 조율이시(棗栗梨枾) 대추. 밤. 배. 감의 순서로 놓는다 (배와 감을 바꾸는 경우도 있음.)
. 동쪽은 제관의 우측, 서쪽은 제관의 좌측을 말합니다.
-. 제사상 차릴때 주의 해야 할 사항
.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안 씁니다. (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진다) . 생선 중에 '치'로 끝나는 꽁치, 멸치, 갈치,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. .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임니다. .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습니다. . 설에는 밥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밥대신 송편을 놓아도 됩니다.
3. 마지막으로 축문에 대해 포스트 하겠습니다.
-. 제례에는 축문을 읽습니다. -.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나타내고 넋이라도 오셔서 준비한 제수를
드시라고 권하는 내용이 축문에 담겨 있습니다.
-. 축문은 가로 36센티 세로 24센티의 백지에 붓글씨로 씁니다. -. 전통식 축문은 한문으로 되어 있어 난해하므로 한글로 번역하여
사용합니다.
-. 요사이 축문 읽는 의식을 생략하는 집안도 많으나 축문을 읽음으로써
후손들이 제사의 의미도 깨우치게 되고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도 애틋해진다고 하겠습니다. 백지에 정성스레 쓴 축문은 축판 위에 얹어서 향안 서쪽 위에 둔다.
-. 그러나 붓글씨에 자신이 없는 사람은 컴퓨터의 한글 궁서체를
출력해서 쓰는 방법도 있습니다.
-. Sample1 - 부모(조부모) 기제사 한글 축문
×년×월×일 아버님 어머님 (할아버님 할머님) 신위 전에 삼가 고합니다. 아버님 어머님(또는 할아버님 할머님)께서 별세하시던 날을 다시 당하오니 사모의 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.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소서
-. Sample2 - 묘제 한글 축문
아뢰옵건대 오늘은 2003년 음력 ×월×일입니다. 큰아들 ○○는 감히 아버님의 무덤에 소상히 아뢰옵니다. 어느덧 계절이 바뀌어 봄이 돌아왔습니다. 무덤을 우러러 어루만져보고 쓸고 다듬어본들 하늘보다 더 높고 넓은 끝없는 은혜 그 어디에 비유할 수 있겠습니까? 삼가 술과 음식을 만들어 해마다 정성껏 받들어 드리오니 두루 흠향하시옵소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