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컴퓨터이야기/알면좋아요

DOS시절 사랑 받았던 배치(batch)파일에 대해..

0.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배치프로그램으로 기본적인 내용을 알고자 합니다.

의미 : 일괄작업파일로서 컴퓨터 운영체계에서 수행되는 명령어들로 구성된 텍스트파일이다. 키보드로 한 번에 하나씩 입력해야 하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하나의 파일로 작성하기 때문에 배치파일이라고 부르며, 공통적으로 필요한 배치파일들은 운영체계의 일부분으로 지정된다. 배치파일은 명령어 라인(명령 프롬프트)에서 단지 배치파일의 이름을 입력함으로써 실행시킬 수 있다~~[네이버 지식백과]~~

 

1. 내부 명령어를 확인 하기 위한 커멘드창

   -. 시작 -> 프로그램 및 파일검색 -> cmd

   -. 배치파일 작성은 에디터를 사용 : 노트패드, 에디트플러스, 울트라에디트 등...

   -. 배치에서 사용할 변수 확인은 커멘드창에서 set하고 엔터를 치면 나옵니다.  

 

2. 배치를 자세히 알기위해 예제를 참고로 합니다.

   -. 배치내에서 명령어는 내부와 외부 명령어를 사용한다.

   -. 내부 명령어 (컴퓨터가 부팅되면서 내부 상주메모리에 올려놓은 명령어)

   -. 외부 명령어 (내부명령어를 제외한 실행 프로그램 : *.exe/*.com)

   -. 특정 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면

=> 커멘드창에서 -> HELP 명령어이름을 입력하십시오.

 

 

   -. 참고 : wildcard 는 파일명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

 

 

3. 배치파일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알면 좋은 것들

   -. echo %date:~0,7% => 2014-07

: 오늘 날자(2014-07-08)중 첫글자부터 7개 글자 보여주기

   -. echo %date:-=% => 20140708

: 오늘 날자(2014-07-08)에서 -를 빼고 보여주기

 

4. 배치파일 sample 입니다. (전월 구하기)

   -. set는 선언 명령입니다.

   -. echo는 화면 표시 입니다.

   -. if는 비교 연산자 입니다.

   -. thisYMD는 오늘 날짜중 "년도-월" 까지의 내용입니다(2014-07)

   -. numThisYMD는 오늘날짜에서 '-'를 없앤 내용입니다(20140708)

   -. numPreYMD는 어제의 날짜(오늘날짜 - 1)를 선언한 것(20140707)

   -. numThisYM는 지금의 년도월 6글자 입니다(201407)

   -. numPreYM은 전달(오늘년월 - 1)를 선언한 것(201406)

   -. numPreY는 전년(지금년도 - 1)을 구한것 (2013)

   -. if 로직은 전달을 구했는데..201400일 경우(지금이 2014년01월일 때) 전년도(2013) 12월이 되도록 하는 로직(201312)

 

 

5. 임의의 작업했던 파일을 압축으로 백업 받는 sample.

   -. 자바로 프로그램하고 수시로 백업 받고자 할 때 사용.

 

 

   -. 위의 LHA32 프로그램은 압축관련 공유프로그램입니다.

관련 정보공유는 여기()를누르세요...

 

좋은 정보를 공유해요~~